(나의여행기록)

전남문화관광해설사 수원. 서울 답사후기

바다위에보석 2018. 11. 16. 09:16

2018 문화관광해설사 수원.서울 답사후기

............. 목차............

1.체험 개요

 

                                       ① 기 간 : 2018. 11. 13.(화) ~ 11. 15.(목)/2박3일

                                         ② 출발일시: 11. 13. 06:30 향토문화회관 집결후 출발

                                         ③ 장 소 : 경기도. 서울                                        

                                         ④ 참석인원  : 전남문화해설사   2차 : 119명)

                                         ⑤ 관광버스 : 2화차  (이영수 010-8666-9245 ) 전남71자 7301 한ㄱ구전세버스(협)

                                         ⑥ 주요내용 : 아래 일정표 참고

2.행정 사항

 

                                        ① 시, 군 문화관광해설사 지원 및 현장 해설협조가 잘되었음.

                                          ② 관광 문화 유적지 무료입장 또는 할인혜택 협조가 잘 지원됨.

 

3.차량이동시

 

                                         ① 협조자 소개 시 박수로 답례.

                                          ② 박정택 회장인사 

                                          ③ 시군별 해설사 자기소개 및 인사말

                                          ④ 10:20분 여산 휴게소 도착하여 휴식.

 

4.현장탐방 주요사항

 

                                        ① 국회의사당 방문시 광주 북을 최경환의원. 나주,화순지역 손금주 의원 ,

                                               광양시,곡성군,구례군 지역 정인화국회의원 

                                               해남.완도. 진도지역 윤영일 국회의원 4분께서 격려말씀.

                                     (윤영일 의원  비서실장께서 국회의사당 곳곳을 안내와 설명은 너무 감사했습니다.)

                                                                                   

5. 마무리

 

2018년 전라남도 문화관광해설사 수원과 서울 답사 

(2박3)동안 아무런 사고 없이 마칠 수 있었던 것은 김채림회장님과

임원진의 치밀한 계획, 헌신한 노력인 것으로 사료되며 회장단의 의견에 잘

따라준 덕으로 우리 모두에게 감사와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또 한편으로 저희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김영록 도지사님과  관광국장님을

비롯하여 과장님이하 담당주무관님들께 감사함을 표하면서 우리들은, 각지역에서

최선을 다할것을 다짐합니다^^^

 

                                                        

6. 전라남도문화관광해설사 타시도 비교답사 일정표

 

일 정

시 간 표

주요 내용

1일차

1113()

09:00

광주 유스퀘어

09:00 ~ 13:00

수원 화성으로 이동

13:00 ~ 13:50

중식 (화성옥)

14:00 ~ 16:00

화성 탐방

16:00 ~ 17:00

봉은사로 이동

17:00 ~ 18:30

봉은사& 코엑스

18:30 ~ 19:30

코엑스 석식 (자유식)

20:10

숙소 도착 (켄싱턴호텔)

2일차

1114()

08:30

조식 후 이동

09:00 ~ 10:00

국회의사당

10:00 ~ 11:00

덕수궁으로 이동

11:00 ~ 13:00

덕수궁 & 고종의길

13:00 ~ 14:00

중식 (장수회관)

15:00 ~ 17:00

청와대 & 칠궁

17:00 ~ 18:00

인사동 으로 이동

18:00 ~ 20:00

인사동 탐방, 석식(자유식)

20:30

숙소 도칙( 켄싱턴호텔)

3일차

1115()

08:30

이동

09:00 ~ 11:00

독립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11:30 ~ 12:30

성균관

12:30 ~ 13:30

중식 (명륜진사갈비)

13:30 ~

서울출발

 

                   2호차:  진도 향토문화회관 (진도)강진 평동나들목(강진.장흥.완도) 목포(목포.무인.신안)여산휴게소 합류

                                                                                 ◐ 참가인원 : 119명 (버스 3대)

                      11월 13일 : 수원화성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화산

                                으로 천봉하고 화산 부근에있던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전라남도 문화관광해설사 2차 :  수원. 서울 답사 

중식 (13:00 ~ 13;50)

화성행궁 정문인 신풍루
신풍루는 1790년에 세워졌고 원래 이름은 진남루 였는데
1795년 신풍루로 명했다.

신풍이란 중국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원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시에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다

                         수원화성 축성과 함께 부속시설물로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 등 많은 시설물을 건립하였으나 전란

                         로 소멸되고 현재 화성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수원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손실되었으나

                          1975~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의 둘레는 5,744m, 면적은 130ha로 동쪽지형은 평지를 이루고 서쪽은 팔달산에 걸쳐 있는 평산성의 형태로 

                        성의 시설물은 문루 4, 수문 2, 공심돈 3, 장대 2, 노대 2, ()5, ()5, 각루 4, 암문 5, 봉돈 1,

                                     적대 4, 치성 9, 은구 2등 총 48개의 시설물로 일곽을 이루고 있으나 이 중 수해와 전란으로 7개 시설물

                         (수문 1, 공심돈 1,    암문 1, 적대 2, 은구 2)이 소멸되었다.(남수문 20126월 복원 완료)

                                             

                          수원화성은 축성시의 성곽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북수문(화홍문)을 통해 흐르던 

                          수원천이 현재에도 그대로 흐르고 있고, 팔달문과 장안문, 화성행궁과 창룡문을 잇는 가로망이 현재에도

                          도시 내부 가로망 구성의 주요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등 200년전 성의 골격이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축성의 동기가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경제적 측면과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성곽자체가 ""사상이라는

                          동양의 철학을 담고 있어 문화적 가치외에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가지는 성으로 이와 관련된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있다.

                                   수원화성은 중국, 일본 등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백미라 할 수 있다.

                      

                          성벽은 외측만 쌓아올리고 내측은 자연지세를 이용해 흙을 돋우어 메우는 외축내탁의 축성술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성곽을 만들었으며, 또한 수원화성은 철학적 논쟁 대신에 백성의 현실생활속에서 학문의

                          실천과제를찾으려고 노력한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벽돌과 석재를 혼용한 축성법, 현안누조의 고안,

                          거중기의 발명, 목재와벽돌의 조화를 이룬 축성방법 등은 동양성곽 축성술의 결정체로서 희대의

                          수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당대학자들이 충분한 연구와 치밀한 계획에 의해 동서양 축성술을 집약하여 축성하였기 때문에

                          그 건축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축성 후 1801년에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축성계획, 제도, 법식뿐 

                                              아니라 동원된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기계, 재료가공법, 공사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성곽축성 등 

                                              건축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록으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원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

                                                       화서문(보물 제403), 장안문, 서북공심돈(보물 제1710), 방화수류정(보물 제1709)

                                                       등이 있다. 수원화성은 1997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화성행궁은 정조의 12차에 걸친 원행 때마다 단순히 왕이 잠깐 유수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정조는 왕 19년 행궁이 완공된 후 이곳 봉수당에서 자친(慈親)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성대한

                              진찬례를 베푼 것을 비롯하여 낙남헌에서 베푼 양로연(養老宴)과 몇 차례의 문·무과 별시,

                              득중에서의  어사(御射)배사(陪射) 행사를 열었다

                              그리고 신풍루에서 베푼 빈민에 대한 친임사미(親臨賜米), 그 밖에 수원부와 인접 민인들에 대한                                                   

                                                  진휼급복(給復)(賑恤) 등 각종의 특별조치를 자주 내린 바 있었다.

                        행궁에서 치러진 행사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을묘년(정조 19, 1795)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현륭원을 참배하고 행궁에서 전찬례를 올린 행사일 것이다. 당시 이 행사의 내용을

                         글로써 상세히 기록하고 그림으로 그려 이를 책자로 편찬·간행한 것이 바로 {원행을묘정리의궤이다.

                                          무엇보다 이 을묘년 회갑 행사를 위하여 정조는 103천여 냥의 재원을 조성하였다. 그런데 정조는

                          그 자금 모두를 어머니의 회갑을 위해 쓰지 않았다

                       자금의 일부를 떼어내어 제주도의 진휼곡(賑恤穀)으로 보내는 한편, 당시 새로 조성한 화성둔전을

                       매입하는데 충당하기도 하고, 행사 후 남은 자금을 3()8도에 분급하여 진휼곡으로 쓰도록

                       하였다.                                                                                         

                                      특히 정조는 원행을 위해 조성한 자금을 화성둔전에 투자하고, 이때 마련된 을묘정리곡(乙卯整理穀)

                      수원에 집중시키는 등, 원행자금의 운영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거점인 수원을 성장시키는데 노력하였다.

                           그 한편 화성행궁에는 재용(財用)과 고사(庫舍)를 관장하는 외정리소와 외탕고·내탕고 등을 두어

                           행궁의 유지·수리 등을 맡아 보았다.                      


북동적대 (서운을 공격하는 적을 바어하기 위해시설)

                               화성행궁에서의 을묘년 회갑 행사는

                                 봉수당에서 거행된 성대한 진찬례

                                 ② 낙남헌에서 베푼 양로연회

                                 ③ 득중정에서의 활쏘기

                                 ④ 신풍루에서 베푼 수원 부민들에게 내린 사미(賜米)의식

                                 ⑤ 우화관(于華館)서의 문과 별시와 낙남헌에서 시행한 무과 별시 등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다.

방화수류정

북수문 (북수문,화홍문)

                                                                                       

수원천



화홍문

                         봉은사(奉恩寺) 訪問

                         봉은사(奉恩寺)는 신라시대의 고승 연회국사(緣會國師)794(원성왕 10)에 견성사(見性寺)

                         이름으로 창건(創建)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연회국사는 영축산에 은거하면서 법화경을

                         외우며 보현행을 닦았던 신라 원성왕대의 고승이다. 또한 삼국사기 권38 <잡지(雜誌)> 7에는

                         봉은사에 관한 또 다른 기록이 실려 있다.

                                         이른바 성전사원에 해당하는 일곱 사찰 가운데 하나로 봉은사가 언급되고 있는 것이다.

                                         그 일곱 사찰은, 

                         사천왕사봉선사감은사봉덕사영모사영흥사 그리고 봉은사다.

                          성전은 왕실에서 건립하는 사찰의 조성과 운영을 위해 설치한 일종의 관부였다

                          또한 일반 행정관청과는 다른 특수 관청으로서 그 관원 조직도 일반적인 관직 이름과 다른 호칭의

                          관원들이왕실 사원의 행정과 업무를 도맡고 있었다. 당시에 성전이 설치될 정도의 사찰은 신라                            

                            사회에서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던 곳이다.

                                              실제 봉은사의 경우만 보더라도 신라 진지왕의 추복을 위해 건립되었다는 것이다.

                               혜공왕대로부터 사찰 조성을 시작하여 선덕왕을 거쳐 원성왕대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는 

                               점 등이 각종 자료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우리 역사상에 등장하는 봉은사라는 이름을 가진

                               명찰은 세 곳이 있다. 각각 신라, 고려, 조선시대에 불교사적으로, 국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사찰들이다

                               신라 시대의 봉은사는 앞서 말했듯이 혜공왕대에 시작하여 원성왕대에 완성한 성전사원이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봉은사는 수도 개성에 위치했던 사찰로 태조 이래 역대 왕실에서 매우

                               중시 하였던 곳이다

                               이곳은 선종 계통 사찰로 유명하였고, 대대로 국사왕사의 책봉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 시대의 봉은사는 바로 문정왕후의 발원과 보우대사의 정신이 살아 숨쉬는

                          서울의 봉은사이다.

                          고려의 흔적은 사료적으로 찾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잔존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1344(충혜왕 5)에 조성된 은입사향로에 관련한 내용은

                          봉은사의 고려의 숨결을 알 수 있는 자료로 남아 있다

                          현재 보물 제321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 향로는 최근까지 봉은사에 있다가 지금은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봉은사 중창불사 조감도]

                         조선시대에 불교 사원을 대폭 축소하려는 정책에 따라 1406(태종 6)에는 국가 인정 사찰이

                                          242개사로 줄었고1424(세종 6)에는 다시 전국의 사찰 중에서 선교 양종(禪敎兩宗)의 각 18

                         사찰씩 36사만을 선정하여 37백여 명의 승려만 인정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조선의 선교 양종 제도 시행 시에 서울의 중심 사찰은 선종사원 흥천사와

                              교종사원 흥덕사였다.

                                                  이밖에 인근에 승가사와 장의사가 36사에 들어 인정받았지만 봉은사나 그 전신인 견성사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얼마 안 있어 연산군 대에 흥천사와 흥덕사가 폐지되고 선교 양종 제도도 무너졌다.

                            봉은사가 전국 수사찰의 위상으로 떠오른 것은 명종대 문정왕후와 보우스님의

                            활동에서부터이다

                            이미 중종 때부터 봉은사는 중심 사찰로서 인식되고 있었다. 도성에서 선교 양종 도회소 역할을 

                            하던 흥천사와 흥덕사가 폐지되었으니 도성 인근에서 규모와 위상이 큰 사찰로는 봉은사가 대신

                             부상하였으리라는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중종 때인 1539(중종 34)에 대대적으로 사찰을 모두 철거하려는 정책을 추진하며

                            그 중심에 봉은사가 있으니, 이들을 그냥 두고서 다른 사찰을 철거하는 것으로는 승려를 근절시킬

                             수 없어 무의미하다고주장하는 상소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 갑찰의 본산이었던 봉은사는 도심 포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22년의 마포 포교당을

                                   시작으로 1924년에안변, 1926년에 인천, 1932년에 서울 관동, 1933년에 서울 현저동, 1934년에

                                   서울 옥천동 등 모두 6개의 포교당을개설하여 적극적인 포교 활동에 나섰다. 도심에 가장 인접한

                                   봉은사가 나가야 할 마땅한 방향이었다. 본사와포교당 간의 원활한 교류를 통해 보다 가까이

                                   다가가는 포교의 마당에 봉은사의 역량이 미친 것이다.

                                              광복 후 봉은사는 조계종 총무원 직할사찰이 되었다. 그러나 1950년의 전란으로 당우 대부분이

                                             소실되고 말았다


                                           그래서 전란이 끝나고 부분적인 중창불사가 이루어져 지속적인 발전을 보였다. 그리고 1960년대 정화를

                                           겪으면서 통합종단조계종이 출범하고 봉은사도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된다. 1964년에는 한국대학생불교

                                           연합회의 수련도량으로 대학생 수도원이 봉은사에 건립되어 영명한 젊은이들이 이곳에 모여 정진을 거듭하였고,

                                           이들은 다수가 현재 한국 불교계 또는 사회 지도층 인사가 되어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72년에는 동국역경원이 설치되어 대장경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전당이 되었다.

                                         현재 대웅전을 비롯하여 선불당, 명부전, 영산전, 북극보전, 판전, 충령각, 운하당, 선원, 심검당, 법왕루, 보우당

                                        진여문 등의 당우가 미륵대불과 함께 경역을 이루며 대중적 포교활동과 사회복지를 실현하는 도심 대찰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다.

코엑스

                                             20005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 지하에 들어선 코엑스몰은 남쪽으로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서북쪽 봉은사 길까지 연면적 36,000여 평에 이르는 생활문화 공간으로, 문화, 오락, 쇼핑등 

                            다양한 시설을 즐길수 있다.

                                              공간의 크기에 비해 동선은 비교적 간단한 편으로 주출입구 격인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서 북쪽 출구인

                            아셈플라자까지 메인 도로만 따라가면 된다


                             코엑스몰은 '물의 흐름'이라는 기본 테마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도로이름을 순차적으로 산마루, 수풀,

                                                 호수,폭포, 계곡, 강변, 열대, 바다 등으로 붙였다

                             이 물길을 따라 한식, 중식, 일식, 양식 등 16개 식당을 갖춘 호수먹을거리마당, 음악과 연극이 펼쳐지는 

                             행사마당, 200만 권이 넘는 국내.서적을 구비한 초대형서점 반디앤루니스, 동대문식 의류쇼핑센터

                             형태의 다양한의류업체가 들어선 패션몰 밸리시스와 현대백화점이 직영하는 유명 레저스포츠 브랜드가

                                                입점된 레포츠몰,100여 종의 최신 게임기기를갖춘 게임챔프, 16개의 상영관을 갖춘 복합영상관

                            Megabox Cineplex, 그리고  터널형 수족관인 코엑스 아쿠아리움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컨벤션 센터 지하에 위치한 김치박물관은 다양한 한국김치 전시와 함께 시식 프로그램도

                             갖추고 있다.


켄싱턴호텔 여의도 (서울 여의도동13-3)

여의도 순복음교회

         2일차 (11월14일)

국회의사당

  위치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번지에 있다

                             여의도를 횡단하는 너비 200m5·16광장에서 서북쪽으로 뚫린 도로를 통해 마주 바라보아 정면에

                             의사당 본관이 있고 그 오른쪽에는 국회도서관, 왼쪽에는 의원회관이 자리잡고 있어서 조형과 규모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국회의사당 돔(Dome)지붕아래 로텐더홀

국회 권위를 상징하는 웅장한 크기의 국회의사당 돔(Dome)지붕아래 로텐더 홀'이라고 불리는

중앙로비는제헌절행사를 이곳에 진행한다.

김채림회장.       최경환 의원.     윤영일 의원

 

윤영일 국회의원 (해남. 완도. 진도 )

윤영일 국회의원 (해남. 완도. 진도 )

윤영일 국회의원 (해남. 완도. 진도 )님과 함께 ^^^

윤영일 국회의원 (해남. 완도. 진도 )님과 함께 ^^^촬영 (이평기 해설사)

윤영일 국회의원 (해남. 완도. 진도 )님과 함께 ^^^ 촬영 (이평기 해설사)

국회에대한 설명중^^^^

진도 장재호 선생님

평화와 번영의상

국회 도서관

국회의사당 돔(Dome)지붕아래 로텐더 홀'

국회의사당 돔(Dome)지붕아래 로텐더 홀'

국회의사당 돔(Dome)지붕아래 로텐더 홀'

여의도 국회의사당

                            위치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번지에 있다

                            여의도를 횡단하는 너비 200m5·16광장에서 서북쪽으로 뚫린 도로를 통해 마주 바라보아 정면에

                            의사당 본관이 있고 그 오른쪽에는 국회도서관, 왼쪽에는 의원회관이 자리잡고 있어서 조형과

                            규모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의사당은 국회양원제의 실시에 대비하여 두 개의 대형 회의장이 있는데, 현재의 본회의장은 민의원

                          본회의장으로쓰일 수 있는 것으로 950(288)이며, 의석은 이동식으로 4백석까지 확장이 가능하고  

                          방청석은 350기자석은 80석이다.

                          한편, 현재의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회의실은 참의원 본회의장으로 쓰일 수 있는 것으로 의석 1백석,

                                            방청석 250, 기자석 40석이다.

서울시청 (중구 명동에 위치)

서울시청 (중구 명동에 위치)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조선의 5대 궁궐 중에서 가장 규모가 작은 것으로 조선말 고종이 살던 곳이다.

 궁궐의 자리는 원래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집이 있었던 곳으로 선조가 임진왜란 직후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행궁이 되었다.

광해군은 이곳에서 즉위한 뒤 161110월 경운궁으로 이름을 바꿨다.

1615(광해군 7)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빈 궁궐이 되었으며

1618년 인목대비가 이곳에 유폐되면서 서궁으로 불렸다.

인조는 이곳 별당에서 즉위했으나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는 바람에 다시 빈 궁궐이 되었다.


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을 1996년도 재현하고 있는 행사다.

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페의식후 기념촬영

성문 개페의식후 기념촬영

덕수궁 돌딤길 돌아보기



중화전을 들어가는 정문

중화전 (임금님의 하례(축하)를 받거나 국가의 행사를 거행하던곳)

드므

중화전 (임금님의 하례(축하)를 받거나 국가의 행사를 거행하던곳) 기념촬영

중화전 (임금님의 하례(축하)를 받거나 국가의 행사를 거행하던곳) 해설사설명을 경청중^^^^

중화전 : 해설사설명을 경청중^^^^

석어당

아궁이

아궁이 앞에서

정관헌 앞에서


덕수궁 주변

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양관

덕수궁 양관 (조선말기에 건축한 서양식 건물)

덕수궁 양관 (조선말기에 건축한 서양식 건물)






강남주 해설사

강남주 해설사 해설경청중^^^^

정동 제일교회

고종의 길

                             고종의 길은 덕수궁 돌담길에서 정동공원과 러시아 공사관까지 이어지는 총 120m의 길로,덕수궁

                                       선원전 부지가  2011년 미국과 토지교환을 통해 우리나라 소유의 토지가 되면서 그 경계에 석축과

                        담장을 쌓아 복원한 것이다.

                               고종의 길과 맞붙어 있는 덕수궁 선원전 영역은 왕들의 어진과 신주 등을 모시던 장소로

                               원래는 세종대로변에 있었으나 1900년 화재로 타게 되자 1901년 당시 미국 공사관 북쪽 

                               수어청자리(현재 정동 1-8번지)에 옮겨오게 되었으며, 광복 이후에는 경기여고와 주한

                               미국대사관저 등의 부지로 사용되다가 2003년 미국대사관의 기숙사 건립을 위해 시행한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 덕수궁 선원전 영역임이 확인되었다.

                                                    2011년 한미정부 간에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 소유의 토지가 되었고, 이에 따라 고종의 길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 고종의 길 :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移御)할 때 사용했던 길


                                        ▸ 아관파천(俄館播遷) : 친러 세력에 의하여 고종 임금이 1896211일부터 1897

                                            220일까지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으로 '아관(俄館)'은 러시아 

                                              공사관을, '파천(播遷)'은 임금이 본궁(本宮)을 떠나 다른 곳으로 

                                              난 ()'을 피하는 것을 말함.

                             ▸ 이어(移御) : 임금이 거처할 곳을 옮김.

                                                     1896210일 인천항에 정박한 러시아 군함 코르니코프에서 장교 5명과 수병 107명이 

                                상륙해 급히서울로 출발했다.

                                                     그다음 날 새벽 고종과 세자는 경복궁 영추문을 빠져나와 러시아공사관으로 들어갔다.

                                                     명성황후가 건청궁까지 난입한 일본군 장교에게 시해된 지 4개월이 지난 직후였다. 고종은

                                약  1년 동안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렀다.

                        

 

                          올해가 아관파천 120주년이다. 문화재청은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을 찾아든 길을 찾아 고종의 길을 만든다

                          한국근대사의 쓰라린 장소가 역사의 교훈을 상징하는 길로 바뀐다. 고종의 피신 길은 추정이 가능하다

                          영추문을 나선 다음 대궐 담장을 순찰하던 일본군을 피하려고 서촌 마을길을 선택했을 것이다. 북악산에서

                          내려오는 냇가를 따라서 내수동 길을 지나 지금의 세종문화회관 뒷길을 거치면 옛 경기여고 터에 있던 

                          선원전 뒷길로 들어설 수 있다

                          어딘가에서 만난 러시아 병사들이 고종을 공사관까지 옹위했을 것이다. 대한제국 시기에 미국공사관이 

                          제작한 정동지도에서는 선원전과 현 미국대사관 사이 작은 길을 왕의 길(King’s Road)’이라고 했다.  

                            고종의 파천 직후 정계에는 소용돌이가 쳤다. 총리대신 김홍집과 탁지부대신 어윤중이 타살됐고,

                             처형 대상인군부대신 조희연과 이두황, 이진호, 우범선 등은 일본으로 도주했다. 폐비 조치는 취소됐고,

                            을미사변 재조사가시작됐다

                            새 정권은 효과적인 민심수습책을 펴나갔다

                            친일 정치인을 단죄하고 단발령을 폐지했으며 각종 미납 세금을 탕감했다. 의병들에게도 해산을

                            적극 설득했다

                            일본은 이런 상황을 이용했다. 히로시마 제5사단의 군법회의에 회부된 을미사변 관련자 48명을  

                           증거불충분으로석방했다

                           그리고 슬그머니 대원군 관련설을 퍼뜨리거나 조선 군인에게 혐의를 뒤집어씌웠고, 서울에 주둔한  

                          일본군은 전과 같이 정부를 압박했다.  

                          정동 언덕에 흰색 전망탑이 있다. 러시아공사관 건물은 6·25전쟁 때 모두 없어졌고 탑만 남아

                          옛 흔적을 보여준다

                          러시아 건축가 사바친(A. I. Sabatin)이 설계해 1890년 완공한 건물은 르네상스식 벽돌 3층 구조였다.

                          이 공사관 터와 미국대사관저가 인접해 있다. 지금은 막혀 있지만 미국대사관저와 경기여고 터 사이에  

                         작은 길이 있었다.그 길 끝에 덕수초교가 나온다


                         한로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러시아공사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Karl Ivanovich Weber·1841~1910)는 

                         영국과 일본을 견제한 러시아의 대변자였다. 청일전쟁 이후 삼국간섭으로 일본이 주춤하자 고종과

                         매개로 러시아에 의지했다. 을미사변은 그에 대한 일본의 보복이었다. 베베르가 조선에서 수집한 문화재가

                        왕비는 베베르를 러시아 표트르대제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명성황후가 그에게 선물한 11세기 고려청자

                         향완과 종이상자를 보면애처로운 생각도 든다. 왕실이 소유한 최상품이었다. 베베르의 눈은 높았다

                        그가 수집한 금동연봉봉황장식 철제은입사촛대나 청자도 일급이었다

                        그가 복용한 한약재와 처방전도 있어 귀중한 한의약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중식 (장수회관)

중식후 이동

청와대 입구

청와대 입구

청와대 (춘추관)

청와대(녹지원) 소나무

청와대(녹지원) 소나무

청와대(녹지원)천하제일복지 (경무대 옛본관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에 위치한다. 북악산을 배경으로 한 이 건물은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하여

                                        회의실·접견실·주거실 등이 있는 2층 본관과 경호실·비서실 및 영빈관 등 부속건물이 있고, 정원과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후원 및 연못 등의 미관을 갖추고 있다.

                                       19488월 정부수립 후, 19608월까지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명명으로 제1공화국의 대통령

                                       관저명 경무대(景武臺)’로 불려오다가, 그 해 813일 제2공화국 대통령으로 윤보선(尹潽善)

                                       선출되어 입주하면서 청와대로 개명하였다. 이 명칭은 대리석으로 된 본관 건물이 청기와로 이어져

                                       있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청와대 터는 고려시대 남경(南京)의 이궁(離宮)이 있던 곳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426(세종 8)에 창건된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밖으로 후원에 해당하는 이 지대를 경무대라 하였다.

                                                            북악산 산록에 위치하여 서울 장안을 전망할 수 있는 이 경무대는 어영(御營: 조선시대,

                                                           인조반정 뒤에 조직한 군대의 하나)의 연무장(鍊武場)이나 과거장(科擧場)으로서,

                                                            또는 친경(親耕)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울안에는 원래 융무당(隆武堂)과 경농재(慶農齋: 조선 말엽 경복궁의 뒤뜰에 있던

                                               각 도의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못됨을 알아보던 집) 등이 있었으나, 일제강점 후 1927

                                               일제에 의하여 헐리고, 일본인이 조선총독 관저를 건립하였다.

                                               이곳을 제7·8·9대 조선총독이 관저로 사용하였고, 광복이 되어서는 조선주둔군 사령관

                                               하지(Hodge, J. R.)중장이 사용하다가 1948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한국정부로

                                               이관되어 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관저로 사용되었다.

                                      동시에 경무대라는 이름을 되찾아 대통령 관저명으로 사용하였다. 이승만(재임 19481960) 대통령은

                                       6·25전쟁의 피난시절을 제외하고 19604월까지 초대·2·3대 대통령으로 보낸 12년간을 이곳에서

                                          보내고 4·19혁명에 의한 하야와 함께 이화장(梨花莊)으로 옮겼다.

                                      경무대라는 이름은 3·15대통령 부정선거 등 독재와 비정(秕政)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19608월 제4

                                           윤보선 대통령이 입주하면서 청와대로 명칭을 바꾸었다.

영빈관

                                    1)  영빈관은 대규모 회의와 외국 국빈들을 위한 공식행사를 개최하는 건물로서 19781월에 착공하여

                                       그 해 12월에 준공이 되었다.

                                       이 곳 영빈관은 말 그대로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며, 외국의 대통령이나 수상이 방문했을 때 우리 나라를

                                       알리는 민속공연과 만찬 등이 베풀어지는 공식행사장으로 이용되거나 100명 이상 대규모 회의 및 연회를                              

                                      위한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2층에도 1층과 똑같은 홀이 있는데 1층은 접견장으로, 2층은 만찬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영빈관은 18개의 돌기둥이 건물 전체를 떠받들고 있는 웅장한 건물이고, 특히 전면에 있는 4개의 돌기둥은

                                      2층까지 뻗어 있는 높이가 13m에 둘레가 3m인 기둥이며 내부는 무궁화·월계수·태극무늬가

                                      형상화되어 있다.

                                     

                                      2) 본관은 대통령의 집무와 외빈 접견 등에 사용되는 건물이며, 198922명의 전문가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많은 의견을 수렴한 뒤 199194일 신축되었다. 이 본관 건물 신축으로 외국의 국가원수

                                         나 외교사절이 방문했을 때 우리 전통의 건축양식을 통해 우리 문화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 건물은 정부와 국가를 대표하는 우리의 얼굴과도 같은 곳이기 때문에 전통 목조 구조와 궁궐 건축

                                        양식을기본으로 하여 내부 구조는 현대적인 감각과 시설을 갖추도록 하였으며, 우리 나라 건축양식 중

                                        가장 격조가 높고 아름답다는 팔작(八作)지붕을 올리고 한식 청기와를 이었다.

                                        약 30만 장이나 되는 청기와는 일반 도자기를 굽듯이 한 개 한 개 구워 내어 100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녔다고 한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1층에는 대통령부인의 집무실과 접견실, 연회장, 식당이 있으며, 2층에는 대통령의

                                        집무실과 접견실, 회의실이 있다. 그리고 건물 앞의 넓은 잔디마당은 국빈환영행사와 육··공군 의장대

                                       전통복식을 입은 전통의장대의 사열 등이 행해지는 곳이다.

영빈관 머리돌 앞에서^^^^                                           

영빈관 머리돌 앞에서^^^^                                           

청와대 사를  맞치고 칠궁으로  이동중...  ...

청와대 답사를 맞치고 칠궁으로 이동중 ...  ...

칠 궁

                                         역대 왕이나 왕으로 추존된 이의 생모인 일곱 후궁의 신위를 모신 곳이다.

                                  면적 27,150. 이곳은 원래 1725(영조 1) 영조가 생모이자 숙종의 후궁인 숙빈 최씨(淑嬪崔氏)

                                                         의 신위를 모시고 숙빈묘(淑嬪廟)라 하다가 뒤에 육상묘(毓祥廟)로 바꾸었으며, 1

                                                                                          753년육상궁(毓祥宮)으로 개칭된 곳이다.

                                              1882(고종 19) 불타 없어진 것을 이듬해 다시 세웠으며, 1908년 저경궁(儲慶宮대빈궁(大嬪宮)

                                              연호궁(延祜宮선희궁(宣禧宮경우궁(景祐宮) 5개의 묘당을 이곳으로 옮겨 육궁이라 하다가

                                              1929년덕안궁(德安宮)도 옮겨와서 칠궁이라 하였다.


                              칠궁은 동서로 줄지어 있고 이에 따른 행랑, 2채의 재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동쪽으로부터

                                      배열된 칠궁의 순서와 모셔진 신위의 내용을

                                     육상궁: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 연호궁: 추존된 왕 진종(眞宗)의 생모 정빈 이씨(靖嬪李氏)

                                     덕안궁: 영친왕의 생모 순헌귀비 엄씨(純獻貴妃嚴氏), 경우궁: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綏嬪朴氏)

                                     선희궁: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暎嬪李氏), 대빈궁: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禧嬪張氏)

                                     저경궁: 추존된 왕 원종(元宗)의 생모 인빈 김씨(仁嬪金氏) 등이다



                                                    건물을 둘러싼 정원에는 냉천정(冷泉亭), 초가집으로 된 정자, 늘어진 소나무

                                                    긴 돌로 짠 연못과 축대, 벽돌담 등이 잘 어울려 있어 우리나라 정원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칠궁을 방문후 휴식중

           

                    11월 15일 : 독립문. 서대문 형무소. 성균관

독립문

1898년 6월 자주독립의 상징물 건립을 위하여 독립협회의 주관 으로 이루어졌으며 기금은  

협회의 모금한 돈으로 충당되었다(사적 :제32호지정 1963. 1. 21.)

연중 무휴 관람료 무료



독립문 앞 서필 상

문화재 지정 [독립관]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10-1-19호(2003. 2. 4. 지정)

치매를 예방하려면?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101번지에 있었던 형무소. 전신(前身)은 형조의 지휘를 받아 죄수를 관장하던

                        전옥서(典獄署)이며, 1908(순종 2) 10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四天王要馬)의 설계에 의해 

                        인왕산록(仁王山麓)의 금계동에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인 경성감옥으로 준공되었다. 수용능력은

                        500명 정도였다.

 

                       그후 여러 차례 증축되면서 1912년 일제에 의해 서대문감옥으로, 1923년에는 서대문형무소로 개칭되었다.

                                       19193·1운동 당시에는 시위관련자 1,600여 명을 포함해 3,000여 명이 수용된 것을 비롯하여 일제

                         강점기에 허위·유관순·강우규 등 수많은 애국지사가 수감되었던 민족수난의 현장이었다

역사관 조감도

                                          1946년에는 경성형무소로, 다시 1950년에는 서울형무소로 개칭되었다. 1961년 개정된 행형법(行刑法)

                         따라서울교도소가 되었으며, 196777일에는 서울구치소로 개칭되었다. 1987년 건물을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했다

                         간첩·사상범, 많은 운동권 학생과 재야인사 등이 거쳐간 곳으로서 한국의 교도행정상 빼놓을 수 없는

                         기념지였다

                                          19873월부터 서울특별시는 민족의 수난과 독립운동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곳 전체를 

                          사적으로 지정서대문 독립공원으로 조성했다

                          같은 해 1115일 구치소의 시설과 인원이 의왕시로 이전한 이후, 모두 15개 동 가운데 5개 동과

                          중앙사, 나병사등을 보존했다

                          김구, 강우규, 유관순 등의 인물이 투옥되었던 제101112사의 감옥건물과 사형장이 1988년 사적

                          324호로지정되었고, 1988년부터 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해서 1992815일 서대문독립공원으로

                           개원했다. 1998년에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이 개관했다.                    

1919년 3.1운동에서 활약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독실한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3.1운동당시  이화학당

의 고등부 1학년이었다.

출생지 : 충청남도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 

출생일 :1902년11월 16일 본관 : 고흥

사망일 :1920년 9월 28일

사형장 (교수형)

물고문

독방

 한장소에서  3곳을  감시하게 만들었음

추모비

추모비

시구문

명륜당/ 대웅전

                                         고려의 국립대학인 국자감(國子監)이 충렬왕(忠烈王) 24(1298)에 성균감(成均監)으로 되었다가

                                         충선왕(忠宣王) 즉위년(1308)에 성균관이라 하였다. 공민왕(恭愍王) 5(1356)에 국자감으로

                                         환원하였다가 1362년 다시 성균관으로 고쳐서 조선시대에 계속 대학의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고려시대 때의 위치는 개성(開城)에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서울[漢陽]

                                                         숭교방(崇敎坊 明倫洞)에 있었는데 현재까지 존속되고 있다.

                                                         조선 태조 7(1398) 7월에 교사(校舍)가 창건되었는데 이 해를 근대 학제

                                                        개편 이후의 성균관대학교 창립 연도로 삼고 있다. 태조 당시에는 유학(儒學)

                                                        강의하는 명륜당(明倫堂), 공자(孔子) 및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성현들을 모신 문묘

                                                         (文廟大成殿, 西廡), 유생(懦生)들이 거처하는 동서재(西齋) 등이 있었다.

                                                         성종 때에 향관청(享官廳)과 존경각(尊經閣도서관)이 세워졌고 현종(顯宗) 때에

                                                         비천당(丕闡堂2과거장), 숙종(肅宗) 때에 계성사(啓聖祠공자 및 五聖

                                                         奉安)가 증설되었다. 고종(高宗) 24(1887)경학원(經學院)을 부설하였다.

                                                          성균관의 직제는 각 시대별로 많은 변천을 하여 일일이 적을 수는 없으

                                                          경국대전 經國大典에 따르면 정2품 지사(知事) 1인과 종2품 동()지사

                                                          2인은 겸관(兼官)이었다. 3품 대사성(大司成), 3품 사성 2, 4

                                                          사예(司藝) 3, 5품 직강(直講) 4, 6품 전적(典籍) 13, 7품 )

                                                           박사(博士) 3, 8품 학정(學正) 3, 학유(學諭) 3, 9품 학록(學錄

                                                           3인으로 교수직이 조선 초기의 22인에서 38인으로 증원되었다.

                                                         영조(英祖) 때의 속대전 續大典에 의하면 제주(祭酒)가 정3품관으로 설치되어

                                                         12품관이 겸직하도록 하였다.

                                                         정조(正祖)때의 태학지 太學志에는 지사(2품에서 정1품까지)

                                                         대제학(大提學)이 겸직토록 하였고, 인원이 더욱 늘어났다. 입학 자격은

                                                         생원(生員)진사(進士) 등 사마시(司馬試) 합격자에게만 한하여 부여되는데

                                                         이들은 본과생(本科生)이라 하였다.

                                                         정원 시대에 따라 다른데 초기에 200명이었는데 말기 에 100명으로 축소하였다.

                                                                     입학연령은 15세 이상이었으나 50세 장년도 있었으니

                                                                                    연령 제한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생원진사가 아니더라도 사학(四學)의 생도 가운데서 15세 이상으로 소학(小學)

                                                   사서(四書)를 배우고 오경(五經) 가운데서 1경에 통한 자, 공신과 3품 이상 관리의

                                                     적자(嫡子)로서 소학에 능통한 자, 문과 및 생원진사의 초시(初試漢城鄕試)

                                                       합격한 자, 관리 중에서 입학을 원하는 자는 들어갈 수가 있었는데,

                                                            이들은 기재생(寄齋生)이라 하였다.

                                                           주요 교과 과정은 사서오경을 구재(九齋)로 나누어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그 밖에 과문(科文)의 제술(製述)도 부과하였고,

                                                           제사(諸史)도 독서하였다.

                                                           그러나 노장(老莊)불경(佛經)잡류(雜流)백가자집(百家子集)

                                                           읽지 못하도록 하였다.

 

익산보석박물관

이곳 보석 박물관을 방문 석식후 각 지역으로 귀가 2박 3일의 연수를 무사히 마무리 하였다.^^^^